커뮤니티
활동사진 성통만사 회원님들의 활동 모습입니다.
2025 마음치유 여름캠프 후기 / Gochang North Korean Defector Teachers Workshop (08.12-08.14)
2025 마음치유 여름캠프 후기
2025 Gochang North Korean Defector Teachers Workshop
본 프로그램은 탈북자 선생님들께서 향후 학생들과 현장체험학습을 기획하고 운영하실 때 실질적인 참고가 되시도록 마련하였습니다. 이번 여름 캠프를 통해 한국에서 현장체험학습이 어떠한 형식과 절차로 이루어지는지 직접 경험하시도록 하였으며, 특히 서울·경기 지역 외에도 다양한 지역으로 학습 장소를 확장하실 수 있음을 보여드리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습니다. 또한 프로그램 기간 동안 선생님들께서 서로 의견을 나누고 교류하시면서 경험과 아이디어를 공유하실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serve as a practical reference for North Korean defector teachers when planning and operating field trips with their students in the future. Through this summer camp, we aimed to provide firsthand experience of how field trips are conducted in South Korea, including their structure and procedures. A key goal was to demonstrate that learning venues can be expanded to various regions beyond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Additionally, the program offered a valuable opportunity for the teachers to share their experiences and ideas through discussions and exchanges during the course of the program.
서울에서 다 같이 버스를 타고 고창으로 이동했습니다. 숙소 근처에서 바베큐 및 아침식사를 위한 재료들을 구매하고 숙소 이동 후 공용거실에서 성장 멘토링을 진행하였습니다.
We all took a bus together from Seoul to Gochang. After purchasing ingredients for a barbecue and breakfast near the accommodation, we moved to the lodging and held a growth mentoring session in the shared living room.
먼저 나무에 걸려 있는 여러 글귀 중에서 본인에게 가장 와닿는 문장을 선택한 뒤, 그 문장을 낭독하고 왜 그 말이 마음에 와닿았는지 설명하였습니다. 이후 종이로 된 집 모형을 선택하여 네 개의 방을 나누고, 각 방에 어떤 마음을 담을 지정한 뒤 방에 어울리는 물건을 떠올려 그림으로 표현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각 방을 색칠하고 꾸며 완성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외로움의 방’은 혼자 있을 때의 감정을 담는 공간으로 설정하고, 그 안에 의자 한 개를 그려 고요히 앉아 사색할 수 있도록 표현하였습니다. 성장 멘토링을 통해 선생님들은 본인의 마음을 다시 한번 돌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First, each participant chose a phrase from several hung on the tree—selecting the one that resonated with them most. They then read the phrase aloud and explained why it spoke to them. Next, they selected a paper house model and divided it into four rooms. Each room was designated to represent a specific emotion or state of mind. Participants then thought of an object that matched each room’s theme and expressed it through a drawing. Finally, they colored and decorated each room to complete the activity.
For example, the "Room of Loneliness" was designed as a space to reflect the feelings one experiences when alone. A single chair was drawn in the room to symbolize a quiet place for contemplation. Through this growth mentoring session, the teachers had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and care for their own emotional well-being.
둘째 날에는 고창 상하농원을 방문하였습니다. 상하농원에는 파머스 빌리지, 파머스 마켓, 양떼목장, 젖소 운동장, 호수가 있어 해당 장소들을 구경하였고, 양떼목장 및 젖소 운동장에서는 아이들이 체험할 수 있는 동물 먹이주기 체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상하농원의 발효 공방, 빵 공방, 과일 공방, 참기름 공방, 햄 공방 가이드 투어를 진행했습니다. 투어에서 공방별 특징 이해 및 제조 과정을 직접 볼 수 있었습니다.
On the second day, we visited Sangha Farm in Gochang. Sangha Farm includes the Farmer’s Village, Farmer’s Market, a sheep ranch, a dairy cow playground, and a lake, all of which we toured. At the sheep ranch and dairy cow playground, we held animal feeding activities that children can also participate in.
We also took a guided tour of several workshops within Sangha Farm, including the fermentation workshop, bakery workshop, fruit workshop, sesame oil workshop, and ham workshop. During the tour, we learned ab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workshop and were able to observe the manufacturing processes firsthand.
가이드 투어 이후에는 상하농원에서 진행하는 찹쌀 고추장과 보코치니 치즈 만들기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학생들이 상하농원을 방문하면 체험할 활동들을 직접 체험하실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After the guided tour, we participated in hands-on activities offered by Sangha Farm, including making glutinous rice gochujang and bocconcini cheese. This provided an opportunity to personally experience the kinds of activities that students would take part in when visiting Sangha Farm.
마지막 날에는 매일 우유 공장에 방문하였습니다. 공장 가이드 투어를 통해 매일 공장의 우유와 치즈 제조 과정을 직접 구경하고 다양한 우유와 치즈 종류들에 대한 정보를 배울 수 있는 독특한 경험이었습니다.
On the final day, we visited the Maeil Dairy Factory. Through a guided tour of the facility, we had the unique opportunity to observe the milk and cheese production processes firsthand and learn about the various types of milk and cheese produced at the factory.
2025년 마음치유 여름캠프를 통해 선생님들께서는 한국의 다양한 현장체험학습 운영 방식을 직접 경험하시어, 향후 학생들을 위한 체험학습을 기획하실 때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계획을 세우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서울·경기 지역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지역 자원을 탐색함으로써, 학생들에게 폭넓은 학습 기회를 제공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더불어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하시며 동료 교사들과 의견을 교환하고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실 수 있었습니다.
Through the 2025 North Korean Defector Teachers Workshop, the teachers were able to directly experience various approaches to organizing field trips in Korea. This is expected to help them develop more concrete and practical plans when designing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for their students in the future. By exploring local resources beyond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teachers will also be able to provide students with broader and more diverse learning opportunities. Furthermore,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ogether, the teachers had the chance to exchange ideas and build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fellow educators.